로그인 회원가입
K-VINA 회원가입 혜택

1. 한국경제TV 통합 원스톱 회원가입

2. 뉴스레터, 베트남·글로벌 한줄뉴스, 정보 무료 제공

3. 센터 세미나/투자설명회 무료 참석

통합 회원가입하기 닫기

한경 K-VINA, 케이비나

한경 K-VINA, 케이비나

한국경제TV 기사만
파업 불길 번지는 유럽…프랑스 이어 영국도 멈췄다

기사입력   2023.02.02 17:59

최종수정   2023.02.02 17:59


유럽의 강대국 영국과 프랑스가 파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영국에서는 고공행진하는 물가에 맞춰 임금을 올려달라는 요구가 파업으로 이어졌다. 프랑스에서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정년 연장 등을 담은 연금개혁을 밀어붙이자 전국적으로 총파업이 이뤄지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재정이 악화된 정부와 실질 임금을 보장받으려는 노동자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은 실질 임금 보장 요구
영국 산별 노조의 상급단체인 노동조합회의(TUC)는 1일(현지시간) “교사, 공무원, 기관사 등 최대 50만 명이 이날 동시에 총파업을 벌였다”고 밝혔다.

TUC에 따르면 약 100만 명이 참가한 2011년 파업 후 최대 규모다. 이날 총파업으로 영국의 학교는 휴교했고, 기차 등 대중교통은 멈춰 섰다. 영국 전국교육노조(NEU)에 따르면 이날 영국 공립학교의 85%가 수업하지 않았다. 간호사, 구급대원, 철도 노조 등이 추가 시위를 예고해 ‘불만의 겨울’ 시절처럼 또다시 영국에서 대규모 파업 기간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들은 생활비 위기를 호소하며 “연 10%가 넘는 물가 상승률에 맞춰 임금을 올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실질임금을 보장해달라는 주장이다. 최근 발표된 영국인의 작년 9~11월 평균 급여는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해 22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 때문에 같은 기간 실질임금은 전년 동기보다 2.6% 감소했다. 영국 정부는 임금 인상이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주요국 가운데 올해 영국이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장(-0.6%)하며 경기 침체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칼럼에서 “1970년대 유럽의 병자로 불렸던 영국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 3년이 지난 이제는 세계의 병자가 될 조짐”이라며 “영국병(복지 등 방만한 정부 지출에 의존하고 파업을 일삼는 현상)의 귀환을 우려한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마거릿 대처 시대 이후 영국 노동시장은 유연해졌지만 최근 양상이 달라졌다”며 “영국도 2010년대 이후 대규모 파업이 당연한 듯 반복돼 온 프랑스를 닮아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영국에서 파업으로 인한 근로 손실 일수(6개월 기준)는 162만8000일로, 1990년 이후 30여 년 만에 가장 많았다.
프랑스는 연금개혁 총파업
영국해협 건너 프랑스에서도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마크롱 정부가 들고나온 연금 개혁안을 향한 반발 때문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 “우리는 더 일해야 한다”며 정년을 기존 62세에서 64세로 늘려 연금 수령 시작 시점을 늦추는 법안을 하원에 제출했다.

프랑스 노조는 “개혁안이 불공정하다”며 12년 만에 연합 전선을 구축했다. 강경 좌파 노조인 노동총동맹을 중심으로 파업을 불사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전역에서 진행된 2차 반대 시위에는 1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대중교통을 마비시켰다. 노동총동맹이 주장하는 시위대 규모는 280만 명이지만, 내무부 공식 추산으로도 127만 명에 달했다. 주요 8개 노조는 오는 7일과 11일 추가 파업을 예고했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는 연금개혁을 밀어붙인다는 입장이다. 3선에 나설 수 없는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에는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프랑스 파업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go top